반응형

수도요금 조회 계산방법

 

서울시의 수도요금(상수도 + 하수도 + 물이용부담금) 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 가정용 기준으로 설명드릴게요.

수도요금 구성 항목

  • 상수도 요금 : 수도꼭지를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 요금
  • 하수도 요금 : 사용한 물을 하수로 배출한 뒤 처리하는 비용
  • 물이용부담금 : 환경부 징수 항목, 수질 개선 및 수자원 보호 목적

 

가정용 수도요금 계산방식

1. 사용량 측정 (㎥ 단위)

  • 수도 계량기의 전월 대비 금월 사용량으로 계산됩니다.
    예시: 전월 지침 123 → 이번달 137 → 사용량 = 137 – 123 = 14㎥

 

2. 단가 적용 (2025년 서울시 기준)

구분사용량 구간단가 (원/㎥)

 

구분 사용량 구간단가 (원/㎥)
상수도 1~10㎥ 360
  11~20㎥ 570
  21㎥ 이상 740
하수도 전 사용량 동일 500
물이용부담금 전 사용량 동일 170
 

※ 수도 요금은 누진제입니다. 즉, 구간마다 다르게 요금이 계산되어 더 많은 물을 쓰면 더 높은 요금 단가가 적용됩니다.

 

 

3. 예시 계산 (14㎥ 사용 시)

  • 상수도 요금 :

1~10㎥→ 10㎥ × 360원 = 3,600원

11~14㎥ (4㎥)→ 4㎥ × 570원 = 2,280원

💧 총 상수도 요금 = 3,600원 + 2,280원 = 5,880원

 

  • 하수도 요금
    → 14㎥ × 500원 = 7,000원
  • 물이용부담금
    → 14㎥ × 170원 = 2,380원
  • 총 수도요금 = 5,880 + 7,000 + 2,380 = 15,260원

 

고지서에는 어떻게 표시되나요?

고지서 항목에는 다음과 같이 나뉘어 기재됩니다:

  • 상수도요금
  • 하수도요금
  • 물이용부담금
  • 부가가치세 (상수도요금의 10%)
  • 합계청구금액

 

 

 

수도요금 조회 방법 (서울시)

🔍 서울시 아리수 사이버고객센터

  • 홈페이지: https://arisu.seoul.go.kr
  • 로그인 후 “요금조회” 메뉴에서 확인
  • 실시간 사용량, 납부내역, 고지서 출력 가능

 

수도요금 자동 계산기 사이트

  • 서울시 공식 수도요금 계산기:
    요금계산기 바로가기
  • 이용 방법:
    1. 사용용도 선택 (가정용/일반용 등)
    2. 사용량(㎥) 입력
    3. 자동으로 상수도, 하수도, 물이용부담금, 세금 포함 합계 계산
  • 지역별 자동 계산기 사이트 
    1. 부산시: https://tapwater.busan.go.kr  
    2. 인천시: https://water.incheon.go.kr
    3. 경기도: 지역별 시청 또는 수자원공사 위탁 페이지

 

모바일 수도요금 확인 방법

  • 서울스마트불편신고 앱 또는 아리수 모바일 앱
    • 요금 조회, 전자고지, 납부 가능
    • 스마트폰으로 QR코드 고지서 스캔해 바로 확인 가능

 

팁: 절수 방법

  • 절수 샤워기/절수형 양변기 사용
  • 물 새는 수도꼭지 점검
  • 세탁/설거지 시 물 틀어놓지 않기
  • 상하수도 감면, 할인 혜택 신청하기

반응형